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 시니어 1만8000명 ‘웰다잉’ 준비

지난달 27일 정오, 패서디나 드림교회에는 60~90대 한인 시니어 30여 명이 모였다. 특별한 세미나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비영리단체 소망소사이어티에서 나온 줄리 박 교육부장과 한미정 강사는 ‘당하는 죽음에서 맞이하는 죽음’을 주제로 강연했다.   소망소사이어티는 17년째 한인사회 시니어 단체, 기관, 교회 등을 찾아가 ‘웰다잉(Well-Dying)’ 교육세미나를 열고 있다. 시니어 등이 본인 스스로 삶의 마지막 순간을 어떻게 맞이하면 좋을지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을 챙기자는 취지다.   이날 세미나도 1부 치매 진단과 대처법, 2부 일명 소망유언서로 불리는 사전의료지시서(Advance Healthcare Directive) 교육으로 진행됐다. 소망유언서 교육에 나선 한미정 강사는 “연명치료 여부를 미리 준비하면 죽음이라는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스스로 준비하지 않을 경우 치매 등 의식이 없을 때 본인 의사와 달리 무의미한 생명연장 등 여러가지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죽음 대비, 정신건강에 도움   ‘죽음을 미리 준비하자’는 캠페인에 거부감은 없을까.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시니어들은 거부감 대신 경청의 자세를 보였다. 웰다잉, 시니어 스스로 맞이하는 죽음을 준비하면 정서적 안정 등 정신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는 깨달음도 엿보였다.   박경란(75) 시니어는 “나이가 들수록 내 죽음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알고 싶어진다”면서 “동생이 65살 때 뇌경색으로 갑자기 죽었다. 동생은 미리 시신기증 등 죽음을 준비했고, 동생의 뜻대로 시신기증을 보면서 나도 대비해야겠다고 느꼈다. 죽음을 생각하면 두렵지만 겁먹지 말고 슬기롭게 대처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국 전통문화의 시각에서 시니어는 강한 효심을 바탕으로 노년에도 가족의 보살핌을 받아야 한다는 인식이 뿌리 깊다. 이로 인해 자녀와 부모가 질병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죽음에 대해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이야기를 나누는 행위는 불효처럼 여겨진다. 시니어 대부분 본인의 질병치료나 죽음은 자녀 등 가족이 뒷바라지할 것이라는 기대도 크다.   하지만 한인 이민사회는 가족이 떨어져 사는 경우가 많고, 시니어 스스로 생활을 꾸려야 할 때가 많다. 이로 인해 홀로 사는 한인 시니어가 외로움을 호소하고 질병치료와 죽음에 두려움을 느끼곤 한다.   실제 시니어 한인 연구(Study of Older Korean Americans) 보고서에 따르면 60세 이상 한인 시니어는 이민생활 중 가족 또는 사회와 떨어진 고립을 경험하며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소망소사이어티는 한인 시니어가 처한 현실에 지혜롭게 대응하자고 강조한다. 시니어가 주체적인 자세로 향후 다가올 질병과 죽음을 대비할수록 긍정의 자세 등 정신건강도 챙길 수 있다고 강조한다.   한인 시니어들이 주축이 된 ‘웰빙, 웰에이징, 웰다잉’ 캠페인 효과는 수치로 증명됐다. 지난 17년 동안 맞이하는 죽음에 공감하고 사전의료지시서를 작성한 한인 시니어는 2024년 11월 현재 총 1만8000명이나 된다.   특히 이 중 2600명은 시신기증까지 서약했다. 이미 89명은 차세대 의사양성 및 의학발전 위해 UC어바인 의과대학 시신 기증을 완료했다.   “시신기증 사회 기여 보람”   한국은 예로부터 신체는 부모가 내려준 존엄과 긍지로 여겨 시신 기증을 기피했다. 최근 한인 이민 1세대들은 전통 관념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들은 의학발전 등 사회 공익에 보탬이 되고 싶다며 시신 기증 실천까지 나섰다.   지난 11월 2일 오렌지카운티 은혜한인교회에서는UC어바인 의과대학과 병원, 소망소사이어티 공동주관으로 ‘시신기증 추모식’이 열렸다. 한인 시니어들이 주도한 웰다잉 사전의료지시서 캠페인은 어느덧 1800명의 자발적 시신기증 서약으로 이어지고 있다.   소망소사이어티 유분자 이사장은 “웰다잉 캠페인에 공감한 한인 시니어 중 죽음을 맞이하더라도 미국 사회를 위해 좋은 일을 하고 가고 싶다는 분들이 자발적으로 늘었다”며 “현재 UC어바인 의과대학에 기증된 전체 시신의 약 60%가 한인일 정도로 놀라운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죽음이라는 말조차 입밖에 내길 꺼리던 한인 시니어들이 시신기증까지 나선 동기는 무엇일까. 소망소사이어티와 시신기증 서약자 1792명(남성 40%, 여성 60%)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9%가 ‘미국 사회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위해서’를 꼽았다. 이어 ‘자녀에게 재정적 부담을 안 주려고’ 8%, ‘장례간소화를 위해’가 5%, ‘가족이 없어서’ 3% 순으로 나타났다.   시신기증 서약이 포함된 사전의료지시서를 작성한 박준구(90) 시니어는 “시신기증은 초보 의사들에게 해부 연습 기회가 되고, 결국 모든 사람이 혜택을 받게 된다”며 “60대 때 내 죽음을 대비하고 늙는 동안 마음이 안정되고 기분도 무지하게 편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없어졌다. 지금은 내 아들과 친구도 시신기증 서약을 했다”며 웃었다. 글·사진=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중앙일보 공동기획 한인사회 시니어 한인 시니어 시니어 한인

2024-11-10

“골리앗들에 맞서려면 경험 많은 다윗이 필요” 교통사고 전문 리차드 호프만 Esq.

한인타운만 33년 변호 활동     “난 약자 위한 법정 싸움꾼”   30년이면 태어난 아이가 ‘학부모’가 될 수 있는 시간.     신출내기 호프만이 ‘싸움꾼’으로 지내온 시간이다.   지난 88년 사무실을 열고 간판을 걸었으니 이젠 ‘한인타운 토박이’라는 말도 어색하지 않을 법 하다.     여전히 ‘현역’ 변호사인 그에게 ‘개인상해 변호사’의 생리를 물었다.     “상해 변호사들은 앰뷸런스를 쫓아 다닌다'라는 조롱도 있죠. 하지만 개인상해는 대부분 약한 피해자를 대변해 힘센 골리앗들 즉 대형 기업들과 싸우는 것이 주된 일 입니다. 그래서 사건이 중대할수록 변호사는 ‘싸울 줄 아는’ 그러면서도 ‘지혜롭고 맷집이 있는’ 사람으로 써야 합니다. ”   광고처럼 수천만 달러의 보상금을 받아낸 케이스가 한인타운에도 있는 지 물었다.     “투표소에서 넘어진 여성분이 있었어요. 몸에 멍이 크게 들었지만 며칠 후에 거동할 수 있다며 투표소 관할 정부에서 2~3만 달러를 보상으로 제시했죠. 하지만 저희가 케이스를 접수하고 싸움을 시작했어요. 관련 기관의 관리 부실이 역력했고 피해 여성분에게는 적지 않은 고통을 준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책임을 진 기관과 충분한 보상금을 협의했고 결국 50만 달러를 받아냈습니다. 아직도 한국분들은 큰 기관이나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하는데 두려움을 갖거나 주저하는 경우도 많고, 본인이 입은 피해를 과소평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개인의 권리와 신체적 상해를 매우 중대한 인간적 권리로 간주하고 동시에 보험을 통해 대부분의 피해보상이 이뤄지는 미국적 특수성을 잘 이해하지 못해서라는 설명도 이어진다. 그냥 부담스럽고 귀찮으니 서둘러 마무리하려는 경우가 한인들 사이에 적지 않다는 것.     서두르지 않고 신뢰 얻는 게 핵심   3만불 짜리가 50만불 보상으로   “또 다른 한인 여성은 큰 트럭 회사 소속 차량과 사고가 발생해 무려 1250만 달러의 보상금을 받아냈죠. 그런데 이분은 소송이 마무리 될 때까지 재정적으로 큰 어려움이 있었는데 저희가 정부에서 받을 수 있는 여러 혜택들을 잘 안내해서 인내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드렸어요. 피해자인 의뢰인이 변호인을 진정한 동반자라고 생각하지 못한다면 만족할 성과를 내지 못합니다. 거기에 전문가 증언을 이끌어내는 네트워크와 전문성은 또 다른 중요한 승리 요소입니다.”     그는  서류만 접수하고 보상금 책정만을 기다리는 변호사들과 달리 “경험과 지혜를 통해 실력을 입증받은 변호사를 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힘을 준다.   그는 법정을 뒤흔드는 집요함만큼이나 정말 약자인 클라이언트들에게 긍휼한 마음을 갖고 있는 변호사일까.     시니어와 약자 돕는 노력 지속     “이젠 저도 한인사회 일원”     그는 매년 한인사회 시니어와 약자들을 위해 후원하고 있다. 시니어들이 모여서 위로를 나누는 자리에 고개 숙여 인사를 전하고 주머니를 연다. 난소암, 유방암 검사를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가 활동하도록 비용을 선뜻 내기도 했다. “어찌보면 다 마케팅이 아니냐”고 물었더니 의외의 대답이 돌아온다.     “한인교회에 출석하면 이젠 모두다 친구나 동네 원로로 반겨줍니다. 그러다 보니 한국말 인사는 물론 인사도 허리 숙여 나누고, ‘이제 한국 사람이 다됐다’는 말도 들어요. 훈훈하고 따뜻한 한인사회 인정에 푹 빠져있습니다. 이런 저런 후원은 지금까지 받아온 관심과 사랑을 아주 조그만 것으로 돌려드리는 것입니다. 쑥스럽죠.”     한인사회 일원이 됐다는 것은 아직도 케이스를 맡아준 그를 잊지 않고 김밥과 음료수를 사 들고 오는 한인들의 모습에서 다시 한번 확인되는 것 일까. 맛있다며 떡을 사서 버스를 타고와 문을 두드리는 시니어들이 있다.     그는 교통사고, 부상 등 미국 생활 일상에서 피해갈 수 없는 사고들에 대해 한인들에게 조언을 내놓는다.     “빨리 해결해준다며 변호사는 보이지 않고 사무장들이 케이스를 처리하는 곳에 일을 맡기지 마세요. 그런 경우 대부분 무리를 하게 되고 사실이 아닌 것과 비정상적인 것들이 끼어들게 됩니다. 결국 건강이나 케이스나 부작용을 겪게 될 수도 있는 것이죠.”     작은 규모 케이스도 항상 소중   24시간 상담 시스템으로 도움     타운 주변에는 보상 액수가 적어서 케이스를 주저하거나 상담 자체를 하지 않는 변호사들도 적지 않지만 그의 사무실에는 적지 않은 ‘스몰 케이스’들이 자리를 차지했다. (실제로 책상은 여기저기 얇은 파일들로 수북했다.)     강산이 세 번 이상 바뀌도록 한인들의 교통사고와 상해사고 케이스를 맡아온   호프만 변호사는 여전히 매일 사무실로 출근해 의뢰인들을 만난다.     은퇴 계획이 궁금했다.     “한 30년 더 하려고요. 하하하. 아직까지 찾아주시는 한인분들이 많이 계시고 저도 건강하니 꾸준히 해야겠다는 생각뿐입니다.”     호프만 변호사 사무실은 팬데믹 시기를 넘기면서 다른 사무실에서는 시도하지 못한 하루 24시간 상담 전화 라인을 구비했고, 동시에 온라인에서도 쉽게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 준비에 나섰다.     UC버클리 경제학과를 나와 UCLA법대를 졸업한 호프만 변호사는 94년에 옮긴 현재의 사무실에서 한인들을 돕고 있다.     ▶ 문의 : (323)782-8600,                 8383 Wilshire Bl.                   Beverly Hills CA 90211                 RichardHoffmanLaw.com교통사고 골리앗 한인사회 시니어 개인상해 변호사 한인사회 일원

2021-12-1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